브로드컴 퀄컴 차이는 무엇일까요? 2017년에 브로드컴이 퀄컴을 인수하려고 시도했었는데요. 이 사건으로 비슷한 사업을 하는 회사라는 인식이 커졌는데요. 브로드컴과 퀄컴은 모두 반도체 및 통신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이지만, 사업 모델과 주요 제품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브로드컴 퀄컴 차이 1. 기업 개요 및 주요 사업
브로드컴 | 퀄컴 | |
설립 연도 | 1991년 (Avago Technologies가 2016년 Broadcom 인수) | 1985년 |
본사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호세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주요 사업 분야 |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반도체 및 통신 칩 | 모바일 AP, 5G 모뎀, 특허 라이선스 |
대표 제품 | 네트워크 스위치, Wi-Fi 칩, 블루투스 칩, 서버 칩 | 스냅드래곤 AP, 5G 모뎀 (X 시리즈), RF 칩 |
주요 고객사 | 애플, 삼성, 시스코, 구글, HPE 등 | 삼성, 애플, 중국 OEM(샤오미, 오포, 비보) |
브로드컴과 퀄컴의 기업 및 주요 사업 차이입니다.
브로드컴 퀄컴 차이 2. 사업 모델 차이
브로드컴 사업 모델
- B2B(기업 간 거래) 중심: 네트워크 장비 제조 업체나 클라우드 기업을 주요 고객으로 함.
- 네트워크 및 서버 반도체 강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보안, 스토리지 분야에서 핵심 칩 공급.
- M&A(인수합병) 전략: 2016년 Avago가 Broadcom을 인수하고, 이후 CA 테크놀로지, 시만텍(보안 사업부) 등을 인수하면서 사업 확장.
- 애플 의존도 높음: 아이폰의 Wi-Fi 및 블루투스 칩을 공급하며, 매출에서 상당 부분 차지.
퀄컴 사업 모델
- B2C 및 B2B 병행: 모바일 기기 제조사들이 주요 고객이며, AP와 모뎀 시장을 주도.
- 특허 라이선스 비즈니스 모델: CDMA, LTE, 5G 등 무선 통신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제조사들에게 라이선스 비용을 받음.
- 스냅드래곤 브랜드: 스마트폰용 AP(애플의 A시리즈 칩과 경쟁)를 개발하며, 삼성 갤럭시, 샤오미, 오포 등에 공급.
- 5G 시장 강자: 퀄컴의 5G 모뎀(X 시리즈)은 애플, 삼성, 중국 제조사들에 공급됨.
브로드컴 퀄컴 차이 3. 핵심 차이
브로드컴 | 퀄컴 | |
사업 구조 | 반도체 하드웨어, 인프라 중심 | 모바일 AP, 통신 특허 |
주요 시장 |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스토리지, 보안 | 스마트폰, 5G, 무선통신 |
핵심 제품 | Wi-Fi 칩, 네트워크 스위치, 서버 칩 | 스냅드래곤 AP, 5G 모뎀 |
매출 모델 | 반도체 판매 | 반도체 판매, 특허 라이센스 |
M&A 전략 | 적극적인 전략(CA 테큰놀로지, 시만텍 인수) | 특허 기반 비지니스 유지 |
브로드컴과 퀄컴의 핵심 차이 요약입니다.
총평
브로드컴은 네트워크와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위한 반도체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기업 고객(B2B)이 핵심임.
퀄컴은 모바일 칩과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 특허 라이선스 사업도 강력하게 운영 중임. (B2C + B2B)
▶ 브로드컴은 인프라 및 기업, 퀄컴은 모바일, 5G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한 기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