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TOP 7, 퇴직연금 DC형을 가지고 계시다면, ETF 투자를 통해 퇴직연금 수익률을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ETF가 있는지 모르신다고요? DC형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ETF 중 7가지를 소개해드립니다.
1.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첫 번째는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입니다.
이 ETF는 개인 순매수액이 1천억 원을 넘은 ETF입니다. OTM이란 아웃 오브 더 머니로 파생상품을 말합니다. (시간 외 가격)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의 가장 큰 특징은 시차를 없앤 커버드콜 전략입니다. 시차가 없는 커버드콜이란 옵션거래를 미국 현지 당일 실물 옵션매매를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잔존만기 1일 나스닥 100 콜옵션 매도를 통해 높은 프리미엄 전략을 주로 추구합니다.
기본 정보(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 기초지수: NASDAQ-100 Daily Covered Call 101 Index(Total Return)
- 운용 기본 틀: 나스닥 100 지수 구성 종목을 매수, 1% 외가격(OTM) 데일리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식으로 운영
- 데일리 옵션 매도: 잔존 1일 콜옵션을 매도해 위클리 혹은 커버드콜 대비 높은 수익 기대
- 분배 한도: 분배금 연간 20%, 월간 1.67%로 제한하고 초과분에 대해서는 재투자를 함(토털 리턴)
- 운용 비용: 총 보수율 0.25%(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219%, 신탁 : 0.020%, 일반사무 : 0.010%)
장점
- 시장 상승에 참여: 나스닥 100 지수가 1% 미만으로 상승 및 하락할 경우 지수 수익률 및 옵션 프리미엄을 수익 가능합니다.
- 변동성 및 옵션: 나스닥 100 지수의 변동성 및 옵션을 통해 거래합니다.
- 실물 운용: 합성 운용 방식이 아닌 실물 운용 방식을 통해 추가 비용 절감 및 뉴욕 현지를 통해 시차 없이 매매합니다.
2.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두 번째는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입니다.
테슬라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연 15% 수준의 분배율 지급을 목표로 하는 ETF입니다. 또한, 실물 국내 채권 70% 투자 및 이자 수익 및 금리 인하에 따른 시세차익을 노린 ETF입니다.
커버드콜의 전략상 하락 시장에서 안정성이 있지만 급등 시에도 수익의 일부 제한이 있습니다.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꾸준한 현금흐름을 원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기본정보(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 구성 종목: 30% 테슬라 주식 및 콜옵션(커버드콜)으로 구성되어 있고, 70%는 국내 우량 채권(국고채 등)에 투자합니다.
- 커버드콜: 테슬라 주식을 소유함과 동시에 콜옵션 매도를 통해 수익 창출. 테슬라 주식이 완만하게 상승하거나 횡보 시에 유리합니다.
- 채권: 국내 우량 채권, 금리 인하 시 추가적인 채권 상승 기대
장점
- 현금흐름: 약 15% 배당률 월별 지급, 꾸준한 현금흐름을 지급합니다.
- 테슬라 미래 가치: 테슬라의 미래 가치에 투자합니다.
- 안정성: 채권 비중이 높아서 하방 압력이 강력할 때 손실 완화가 가능합니다.
- 연금계좌 활용: 위험 자산 비중이 낮아 퇴직연금 100% 투자가 가능합니다. (위험 상품은 70%까지 가능)
3.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세 번째는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입니다.
높은 월배당, 지수 추종, 세금에 대한 혜택으로 인기가 좋은 ETF입니다. 위험상품으로 퇴직연금의 70%까지 투자가 가능합니다.
기본정보
- 구성 종목: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 코스피 200이란 국내 대형주 200개로 구성된 지수임.
- 투자 전략: 옵션 매도 전략을 실행함. 만기가 1주일인 콜옵션을 매도.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수익 창출
- 커버드콜 보완: 기존 커버드콜 상품과 조금 다르게 매도 비중을 낮춤.
- 배당: 연 약 17%의 분배금 지급 (매월 15일 분배금 지급)
- 수수료: 연 0.39%
장점
- 현금 흐름: 월 배당을 통한 현금 흐름
- 안정성: 하락 구간에서 옵션 거래를 통한 손실 완화
- 효율성: 실물 운용을 통한 비용 효율성
4. Kodex 미국나스닥100(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네 번째는 Kodex 미국나스닥100입니다.
미국 대표 기술주 100개 기업을 투자하는 나스닥 100 지수입니다. 단순 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아닌 미국 대표지수에 투자하면서 산업을 선도하는 테크놀로지 기업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는 ETF입니다.
기본정보(삼성증권 DC형 ETF 순위)
- 구성 종목: 나스닥 100(NASDAQ 100 Total Return Index). 대형 기술주
- 운용 수수료: 0.19%(낮은 편)
- 수익률: 연간 수익률이 최상위권
장점
- 성장성: 미국 대형 기술주에 투자를 통한 장기 성장성
- 복리효과: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장기 투자에 큰 수익률 기대
- 낮은 운용 수수료: 낮은 운용 수수료를 통해 효율성이 높음.
5.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다섯 번째는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입니다.
항상 스테디셀러인 S&P 500의 콜옵션 매도 비중을 탄력적으로 조정한 옵션 투자에 배당으로 핫한 SCHD를 결합한 배당성장 ETF입니다.
기본정보(삼성증권 DC형 ETF 순위)
- 구성 종목: Dow Jones U.S. Dividend 100 10% Premium Covered Call Index를 추종합니다. 이는 미국의 우량 배당주 100개로 구성된 종목입니다.
- 커버드콜: S&P500 지수 만기 1개월 콜옵션을 매도하는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합니다.
- 월 배당: 연간 약 12% 수준의 월 배당을 지급합니다.
- 운용 비용: 0.39%
장점
- 현금 흐름: 마찬가지로 월 배당을 통한 현금 흐름 확보에 좋습니다.
- 변동성 대응: 상승장에서 수익에 참여하고 하락장에서는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손실 완화 (커버드콜)
- 비과세 혜택: 옵션 프리미엄과 주식 매매 차익은 비과세 대상 (국내 한정)
6. Kodex 미국S&P500(H)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여섯 번째는 Kodex 미국S&P500(H)입니다.
미국시장을 대표하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대형주 500 종목의 가치를 반영합니다. 이 상품은 지금 같이 환율 변동이 클 때 투자하기에 적합한 ETF입니다.
기본정보
- 구성 종목: S&P500 지수. 미국 상장 대형주 500개
- 운용 수수료: 0.39%
- 분배금: 24년까지는 토털리턴(분배금 없이 재투자)에서 분기 배당으로 변경
- 환헷지: 환율 변동 위험을 차단하기 위한 환헷지형 ETF
장점
- 환율 리스크 차단: 환헤지로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방지
- 미국 대형주: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주 기업에 대한 분산 투자
- 현금 흐름: 분기 배당으로 일부 현금 흐름 확보
7.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일곱 번째는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입니다.
배당 성장을 추구하는 ETF로 미국을 대표하는 초우량 배당성장주에 투자합니다. S&P가 기술주 위주였고, 금융, IT, 헬스케어, 소비재, 산업재, 에너지 등 다양한 업종에 분산 투자합니다.
개별 기업에 대해서 콜옵션(커버드콜)을 사용해 추가적인 배당 재원을 마련합니다.
기본정보
- 구성 종목: S&P500 지수에서 배당을 늘려온 우량 배당 성장주
- 커버드콜: 개별 기업별로 옵션 매도 전략. 기계적 매도가 아닌 시장 상황에 맞는 액티브 전략
- 월 배당: 연간 약 12~15%의 분배금
- 절세: 세금 절약(커버드콜 전략, IRP에 활용)
- 실물 운용: 미국 주식옵션 실물 자산 기반
장점
- 안정성: 배당 성장이 지속되는 우량 기업 투자를 통한 현금 흐름
- 대응력: 탄력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통한 탄력적 자금 운용
- 세금: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절세
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총평
퇴직연금 DC형은 근로자가 직접 투자 상품을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퇴직연금이라고 마냥 예금에 넣어두는 것은 현명한 투자 방식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스닥 100 ETF, S&P500 ETF를 적절하게 섞어주고 안정적인 채권, 커버드콜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퇴직연금 ETF 투자 장단점(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 분산 투자: ETF를 통해 자동 분산 투자 가능
- 수수료: 일반 펀드 대비 낮은 운용 수수료
- 대응력: ETF는 펀드랑 달리 주식처럼 운용가능해 대응력이 좋음.
- 세금: 퇴직연금 내 수익은 과세 이연을 통한 세제 혜택
- 복리: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극대화 가능함.
- 관리의 어려움: 퇴직연금이 쌓일수록 관리의 어려움 발생
- 투자 제한: 레버리지, 인버스 등의 고위험 상품에는 퇴직연금 제한이 있음.
- 안정성: 퇴직연금을 얼마나 받을지 정확한 금액 예측 어려움.
삼성증권 퇴직연금 DC형 ETF 순위 총 정리
- 안정적인 성향의 투자자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 Kodex 미국S&P500(H),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자 →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Kodex 미국나스닥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