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리[2025년 6월 27일자 발표, 앞으로 시장 영향은?]

by 둠칫쿵 2025. 6. 27.

주택담보대출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빠르게 오르자, 정부가 다시 한번 강력한 부동산 대출 규제 카드를 꺼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6월 28일부터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규제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 수도권 주담대, 최대한도 6억 원으로 제한!

주택담보대출 규제안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주담대를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됩니다.
  • 현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1억 7719만 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출로 집을 사기 어려워지는 셈입니다.

 

 

 

🧑‍💼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도 LTV 70%로 축소

 

구분 기존 변경 후
생애최초 주담대 (수도권/규제지역) LTV 80% LTV 70%
 
  • 6개월 이내 전입 의무도 추가됩니다.
  • 이른바 ‘갭투자’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단, 지방은 부동산 침체를 고려해 기존 LTV 80% 유지됩니다.

 

 

 

🚫 다주택자는 아예 대출 금지 (LTV 0%)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수도권 2주택자 이상 또는 기존 주택 미처분 1주택자 지역별 LTV 30~60% LTV 0% (대출 금지)
 
  • 다주택자가 수도권에서 집을 추가로 살 경우 대출 자체가 막힙니다.
  • 단, 1 주택자가 6개월 이내 기존 주택을 처분하면 비규제지역 기준 LTV 70%, 규제지역은 LTV 50%까지 가능합니다.

 

 

 

🗓 시행일은 2025년 6월 28일

돈 계산

금융위와 국토부 등 정부 부처는 6월 27일 열린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에서 이번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 정리하면?

 

대상 변경 내용
수도권 주담대 최대 6억원 한도
생애최초 주담대 LTV 80% → 70% (수도권/규제지역), 전입 의무 6개월
다주택자 대출 불가 (LTV 0%)
1주택자(기존 주택 처분 조건) 비규제 LTV 70%, 규제지역 LTV 50%
 

 

위와 같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대한 전방위적 규제를 발표했습니다.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급등한 집값과 가계부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처방으로 평가되고 있는데요. 이번 규제의 핵심 내용과, 이에 따른 시장의 예상 반응을 정리해 드립니다.

 

 

🏦 주요 규제 내용 요약


항목 내용
수도권 및 규제지역 주담대 한도 6억 원으로 제한
생애최초 주담대 LTV 기존 80% → 70% 축소
주담대 만기 30년 이내로 제한
실거주 전입 의무 6개월 이내 전입 필수
다주택자 추가 주담대 전면 금지 (LTV 0%)
전세대출 보증비율 축소, 자금조달 어려움 예상
 

🔍 시장의 예상 반응

1. 📉 거래량 급감 및 수요 위축

주택 조각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단기 극약 처방’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강남 3구, 마포구 등 고가 아파트 매수 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서울 평균 아파트 가격(약 11.8억 원)과 대출 한도(6억 원) 간 괴리가 커져 실수요자의 진입이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2. ⬇ 중저가 주택으로의 수요 이동

중간, 주택

고가 주택 매매가 어려워지면서, 중저가 아파트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도권 외곽이나 지방 중소도시의 실수요 시장이 상대적으로 활기를 띨 수 있습니다.


3. 🏠 임대차 시장의 불안정

주택

  • 수도권에 실거주 의무가 생기고
  • 전세대출 보증비율 축소로 인해
    전세 매물 감소가격 불안정이 우려됩니다.

특히 신규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시점과 맞물려 전세난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4. 🚫 투자수요 차단 & 과열 진정

불 진화

  • 다주택자 주담대 전면 금지,
  • 갭투자 차단 조치로
    투자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과열 현상이 진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5. ❗ 장기적 효과엔 회의적 시각도 존재

부정적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단기적인 거래 감소와 가격 안정 효과는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실수요자 피해, 전세 불안 등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특히 ‘내 집 마련의 사다리’가 끊긴 실수요자의 좌절감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됩니다.


📝 한눈에 요약

항목내용
거래 영향 단기적으로 거래 급감, 수요 위축
가격 흐름 고가 주택 약세, 중저가 주택 쏠림 현상
전세시장 공급 감소 + 전세대출 규제 → 전세난 심화 우려
투자 수요 대폭 축소 → 과열 진정 효과
장기적 전망 실수요자 피해 및 시장 왜곡 가능성 존재

 

 

📌 결론

시장

정부의 이번 조치는 확실한 규제 신호로 시장에 강한 압박을 주고 있습니다.

단기적 안정은 가능하나, 실수요자 피해와 전세시장 불안다양한 후폭풍이 예상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