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 ETF 추천입니다. 로봇 산업은 스마트 공장, 자동화, AI(인공지능), 물류, 헬스케어 로봇 등으로 다양한 분야로 뻗쳐 나가는데요. 1, 2탄에서는 개별 종목에 주목했다면 이번에는 좀 더 분산 투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투자하는 방법인 로봇 주식 국내 ETF입니다.
로봇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로봇 ETF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국내 로봇 ETF 소개에 앞서 2025년 현재 왜 로봇 산업이 주목받는지 이유는 무엇일까요?
- 로봇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중 하나임. (AI, IoT, 클라우드, 로봇)
-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및 인건비의 상승으로 인해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의 필요
- 시장 규모의 성장 (4차 산업혁명, 인건비 상승, 고령화 등으로 인해서 많은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에 나섰음.)
이러한 많은 수요로부터 로봇 ETF에 투자하는 것은 사실상 단기적인 흐름보다는 장기적인 가치 투자에 가깝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럼 국내 로봇 ETF 3가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국내 로봇 ETF 추천 1. TIGER 글로벌AI&로보틱스 INDXX
국내 로봇 ETF 추천 첫 번째는 미래에셋증권 ETF인 TIGER 글로벌AI&로보틱스 INDXX입니다. 이 ETF는 Global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Thematic 지수를 기초로 하는 ETF로 글로벌 주식에 60% 이상 투자합니다.
▶ 기업 개요
- 상장일: 2023년 8월
- 주가: 약 14,000원 (25년 1월 기준)
- 자산 규모: 약 760억 원
- 거래량: 75,629주
- 운용 보수: 0.49%
- 주요 구성 종목: 인튜이티브 서지컬(11%), 엔비디아(11%), ABB(8.77%) 키엔스(6%) 등
- 추종 종목의 기준: 시총 3억 달러 이상, 6개월 일평균 거래대금 200만 달러 이상, 산업용 로봇, 무인 드론, 인공지능 등
▶ 투자 포인트
- 토탈 리턴 (배당금을 지불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방식)
- 환헤지 X (환율에 대한 헤지를 하지 않습니다. -> 달러에 대한 투자)
- 로봇과 AI 성장에 기대하며 투자
- 상장 이후 수익률 36% (약 1년 반)
국내 로봇 ETF 추천 2. Kodex K-로봇액티브
국내 로봇 ETF 추천 두 번째는 Kodex K-로봇액티브입니다. 로봇 산업 관련해서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iSelect K-로봇 지수를 비교 지수로 하고 있습니다. 연 2회 지수 정기변경을 실시하고 배당금은 1, 4, 7, 10월 분배합니다.
▶ 기업 개요
- 상장일: 2022년 11월
- 주가: 약 15,500원 (25년 1월 기준)
- 자산 규모: 약 87억 원
- 거래량: 562,841주
- 운용 보수: 0.5%
- 주요 구성 종목: 레인보우로보틱스(10%), 네이버(7%), 뉴로메카(7%), 두산로보틱스(6%) 등 총 30종
- 추종 종목의 기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상장 기업
▶ 투자 포인트
- 국내 로봇 관련 기업에 투자 (성장성)
- 비교 지수 그대로 추종하지 않고 초과 수익 추구형 ETF
- 분배금 지급
- 상장 이후 수익률: 약 50% (25년 1월 기준)
국내 로봇 ETF 추천 3. Kodex 글로벌로봇(합성)
국내 로봇 ETF 추천 세 번째는 Kodex 글로벌로봇(합성)입니다.
▶ 기업 개요
- 상장일: 2017년 8월
- 주가: 약 20,000원 (25년 1월 기준)
- 자산 규모: 약 225억 원
- 거래량: 10,589주
- 운용 보수: 0.3%
- 주요 구성 종목: 오카도 그룹 PLC(약 2%), IPG 포토닉스(약 2%), 인튜이티브 서지컬(약 2%), 아젠타(약 2%) 등 78종목
- 추종 종목의 기준: ROBO Global Robotics & Automation UCITS PR 지수를 추종, 글로벌 선도 기업 및 성장 기업
▶ 투자 포인트
- 환노출형 (달러에 대한 투자)
- 다양한 포트폴리오 - 총 78종목(분산 투자 및 다양한 국적의 기업)
- 자동화 관련 혁신 기업들 투자(성장성)
총평 (나는 어디에 투자?)
위에서 추천한 ETF 3가지 모두 가치투자 할만한 ETF입니다. 3가지 ETF 다 로봇 산업에 투자하는 ETF라는 점은 같지만 구성 종목 및 비율을 보면 투자하는 성격이 다릅니다.
- 글로벌 기업, AI 및 굵직한 로봇 기업에 투자 → TIGER 글로벌AI&로보틱스 INDXX
- 국내 로봇 기업 중 우량주 투자 → Kodex K-로봇액티브
- 글로벌 기업, 로봇 산업의 전반적인 기업들에 분산 투자 → Kodex 글로벌로봇(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