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SPLG 단점 [분석: S&P 500 중 가장 뛰어난 ETF?]

by 둠칫쿵 2025. 7. 2.

S&P 500을 추종하는 SPLG 단점은 무엇일까요? S&P 500을 추종하는 ETF 중 아마 수수료가 낮은 것으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이 글을 통해 SPLG ETF의 장점은 뭐고 단점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가는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SPLG ETF란?

SPLG ETF

2005년에 상장한 S&P 500 추종 ETF로 미국 주식 시장 전반적인 투자라고 생각하셔도 되는데요. 미국 주식 전체적인 투자이기 때문에 일반 주식에 비해서 매우 안정적이고 다른 ETF에 비해 운용 수수료도 낮은 편입니다. 고로 장기 투자에 유리한 측면이 있습니다.

S&P 500을 쉽게 설명하면 미국 전체 주식 시장의 미국 대기업 시가 총액 기준 500개를 주식을 구성한 지수라고 보면 됩니다.

 

 


 

SPLG 구성 종목 TOP 10

SPLG ETF 구성 종목 TOP 10

SPLG 구성 종목 TOP 10인데요. TOP 10의 비중이 SPLG ETF 전체 비중의 37.29%를 차지합니다.

우리가 미국 주식 중에서 많이 알고 있는 주식들이 많습니다. 애플이 7% 정도, 엔비디아 6%, 마이크로소프트 6%, 아마존 4% 등이 있습니다.

 

 

 


SPLG 구성 섹터

SPLG ETF 구성 섹터

SPLG 구성 섹터인데요. S&P 500을 추종하는 지수답게 기술주가 압도적인 33%입니다. 다음으로는 금융 서비스가 13%네요.

그래서 구성 섹터를 통해서 뭘 알 수 있는데?라고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기술 섹터: 성장 가능성이 높음, 큰 수익의 기대감.
  • 헬스케어 섹터: 안정적인 수익의 기대감.
  • 에너지 섹터: 경기를 많이 타고 유가상승 시 상당히 수익 상승 기대감.

주요 섹터별로 이 정도만 알고 계셔도 투자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SPLG 배당 시기 및 배당금

SPLG 배당 시기는 분기 배당으로 배당 수익률은 약 1.3% 정도입니다.

 


SPLG 장점

 

SPLG 단점에 앞서서 장점 주요 3가지 정도 아시면 됩니다.

 


 

SPLG 장점 1. 낮은 운용 보수

SPLG 장점 첫 번째는 낮은 운용 보수입니다. 이거를 빼놓고 SPLG를 얘기 하긴 어려울 듯합니다.

낮은 운용 보수를 통해서 장기 투자에 있어서 투자자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0.02%는 ETF 중에서 거의 최하급으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SPLG 장점 2. 안정적인 수익 추구

SPLG 장점 두 번째는 뻔한 얘기이긴 하지만 안정적인 수익입니다.

 

S&P 500을 추종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마 나스닥, 다우존스 등 다양한 대표 지수들이 있지만 S&P 500이 가장 안정적인 지수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채권은 제외하고요.

 


SPLG 장점 3. 투자의 투명성

SPLG 장점 세 번째는 투자의 투명성인데요. 당연한 말이지만 SPLG는 포트폴리오를 공개합니다. 그리고 정기적인 분기 배당도 실시합니다.

 


 

SPLG 단점

SPLG 단점을 주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SPLG 단점 1. 국한된 성과

SPLG 단점 첫 번째는 국한된 성과입니다. 사실 이건 장점일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어쨌든 투자할 때는 작은 단점이라도 알고 가야 하니까요.

국한된 성과라는 말의 의미를 설명해 드리면 SPLG는 당연히 SP& 500 지수를 추종하기에 전체적인 시장 상승만을 따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그 의미는 상승률이 시장의 평균 이상을 수익 내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S&P 500 지수

S&P 500 나스닥을 비교해 드리면 나스닥 100에 비해서는 5년간 상승률은 나스닥은 135%, S&P 500은 83%로 낮은 편입니다.

 


 

SPLG 단점 2. 낮은 거래량

 

SPLG 단점 두 번째로는 낮은 거래량이 있습니다. ETF는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라 낮은 거래량이 무슨 의미냐고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인데요. ETF의 가격은 지수를 추종하는 것이 맞으나 낮은 거래량이 동반되면 거래가 체결이 안 돼서 낮은 가격에 매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즉, 거래 체결 타이밍을 잡기 어려운 것이지요.

-> 하지만 그렇다고 거래량이 낮은 편은 아닙니다. 일반 투자자가 거래하기에는 어려움이 없습니다.

 


 

SPLG 단점 3. 기술주 의존도

SPLG 단점 세 번째는 높은 기술주 의존도입니다. SPLG 구성 섹터를 보시면 알겠지만, 기술주가 약 33% 정도로 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기술주는 경기 민감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라서 경기 침체나 금리 인상기에는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나스닥 100처럼 기술주 의존도가 높진 않기에 나스닥 100에 비해선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SPLG SPY 주요 차이점

SPLG와 SPY가 그래서 뭐가 다른 건데? 하시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하나씩 비교해 볼게요.

티커명 SPY ETF SPLG ETF
추종 지수
(같음)
S&P 500 TR S&P 500 TR
운용사
(같음)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상장일 1993년 1월 2005년 11월
수수료(%) 0.09% 0.02%
1주당 가격 약 600달러 약 70달러

차이점을 표로 정리해 보았는데요. 딱 보이시는 큰 차이는 1주당 가격과 수수료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수수료 사실 0.0x%는 작은 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저는 투자하시는 입장에서는 한 푼이라도 더 벌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수수료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수수료 4배가량 차이가 나는 점에서 SPLG ETF가 유리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SPLG ETF 추종 지수의 변화(두 번의 변화)

추종 차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시겠지만 SPLG는 처음부터 S&P 500을 추종했던 ETF는 아닙니다.

2005년 상장 당시에는 러셀 1000 지수를 2017년까지 추종했고 그 이후 미국 대형주를 추종했습니다.

그러다 2020년부터 S&P 100지수를 추종했고 지금의 SPLG ETF인 것인데요. 추종 지수를 변경한 이유로는 아무래도 안정성 및 투자자의 수요 측면으로 추정됩니다.

 


 

SPLG 장기 투자는 과연 적절한가?

긍정적인 생각

결론부터 말씀드리는 것을 저는 선호하기에 말씀드리면 대답은 "적절하다"입니다.

 

 

위에서 이유는 다 말씀드렸지만 장기 투자에서는 S&P 500만큼 안정성이 높은 주식은 없기 때문입니다. (분산 투자)

 

또한, 다른 S&P 500보다 수수료가 낮다는 점은 분명 큰 메리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낮은 수수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생각하는 분들은 포트폴리오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단기적인 성과를 원하시는 분들께는 추천해 드리지는 않습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